사업정보
산업통상자원부 / 중소벤처기업부
전체 : 823건 18 페이지
- 6872025년도 무탄소에너지보증사업(무탄소에너지보증) 지원공고 출처 : 산업통상자원부 작성자 : 정유나 날짜 : 25-05-14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-388호2025년도 무탄소에너지보증사업(무탄소에너지보증) 지원공고 “2025년도 무탄소에너지보증사업(무탄소에너지보증)”을 시행하기 위하여 「신·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규정(산업통상자원부 고시)」에 따라 동 사업의 지원내용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. 2025. 5. 14.산업통상자원부장관
- 686오사카 엑스포 ‘한국의 날’ 행사 개최 출처 : 산업통상자원부 작성자 : 이경수 날짜 : 25-05-13* 아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무역진흥과 조성욱 서기관(044-203-4031)에게 문의 바랍니다. 오사카 엑스포 ‘한국의 날’ 기념 행사가 13일 오후 2시에 개최됐습니다. 이를 시작으로 17일까지 5일간 ‘한국 주간’ 행사가 열려 한국 우수상품전, 한국 관광 페스타, 조선통신사 뱃길 재현, K-푸드 페어 등 경제·문화 행사가 이어집니다. 한국의 날
- 6851인 창조기업 지원사업 전담기관 추가 지정 공지 출처 : 중소벤처기업부 작성자 : 김동현 날짜 : 25-05-13□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제16조 및 동법 시행령 제9조에 근거, 1인 창조기업 지원사업 전담기관을 아래와 같이 추가 지정합니다. ○ 1인 창조기업 지원사업 전담기관 : 사단법인한국창업보육협회 ○ 지정기간 : 2025년~2029년 (5년)
- 6842025년도 제3차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출처 : 산업통상자원부 작성자 : 노진환 날짜 : 25-05-13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-386호2025년도 제3차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사업(바이오산업기술개발) 신규지원 대상 연구개발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2025년 5월 13일산업통상자원부장관※ 상세사항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(www.keit.re.kr) 사업공고 참조
- 683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사상 처음 10% 돌파! 출처 : 산업통상자원부 작성자 : 이경수 날짜 : 25-05-12* 아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에너지정책과 강봉조 사무관(044-203-5122)에게 문의 바랍니다.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10%를 돌파했습니다. 아울러 그동안 최대 발전원이었던 석탄 발전은 원자력과 가스에 이어 3위를 기록했습니다.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에너지 수급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발전 비중은 원자력이 18년
- 682시스템반도체 초격차 확보…팹리스 맞춤형 사업 개시! 출처 : 산업통상자원부 작성자 : 이경수 날짜 : 25-05-12* 아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반도체과 전성철 사무관(044-203-4274)에게 문의 바랍니다. 인공지능(AI) 반도체 등 첨단 시스템반도체 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위해 팹리스(반도체 설계기업) 맞춤형 인프라 사업이 본격 시작됩니다. 산업통상자원부는 3~5월 사업공모 절차를 거쳐 ‘팹리스기업 첨단장비 공동이용지원’ 사업에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을, ‘고신뢰
- 681아산‧충주‧마산 산업단지 “첨단‧친환경으로 확 바뀐다!” 출처 : 산업통상자원부 작성자 : 이경수 날짜 : 25-05-09* 아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입지총괄과 박성일 사무관(044-203-4439)에게 문의 바랍니다. 충남 아산부곡 국가산업단지, 충북 충주 제1 일반산업단지, 경남 마산자유무역지역 국가산업단지가 첨단산업 융합 등으로 확 바뀝니다.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국토교통부와 ‘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추진위원회’를 개최해 이들 산업단지를 ‘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
- 680수소로 생산한 전기 사고판다…올해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출처 : 산업통상자원부 작성자 : 이경수 날짜 : 25-05-09* 아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수소경제정책과 윤재웅 사무관(044-203-3955)에게 문의 바랍니다. 2025년 수소발전 입찰시장이 9일 개설됐습니다. 수소발전 입찰시장은 수소 또는 수소화합물을 발전 연료로 사용해 생산한 전기를 구매·공급하는 제도로, 사용 연료에 따라 청정수소발전과 일반수소발전으로 구분됩니다.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은 국내 청정수소